컴퓨터의 핵심 부품 반도체의 역사, 기능, 종류
중국의 주판 같은 단순 사칙연산 계산기에서 시작된 컴퓨터는 현대에 이르러 두차례의 큰 전쟁을 겪으며 획기적 변신을 하게 됩니다. 암호해독, 미사일개발, 핵폭탄개발 등 미적분 같은 어려운 수학 계산을 컴퓨터에게 시키면서 엄청난 계산수행능력을 필요로 하게 되었고, 천재수학자와 천재과학자들은 지금과 같은 현대적 컴퓨터를 만들게 됩니다. 결국 그러면서 나무만 있으면 되는 컴퓨터는 수많은 기계부품들을 가지고 만들게 되었죠. 그 중 핵심이 되는 부품은 바로 반도체입니다. 오늘은 이 반도체에 대해 알아볼게요.
반도체는 도체와 부도체의 중간의 물질인데요. 어떤 방향에서든 항상 전기가 흐르는 도체와 달리 반도체는 연결방향에 따라 전기가 흐를 수도 흐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성질로 인해 반도체는 전류를 흐르게 하거나 하지 않게 하는 스위치 역할, 전류나 전압을 증폭시켜주는 증폭 역할, 교류를 직류로, 직류를 교류로 바꿔주는 정류 역할 등을 합니다. 반도체는 3명의 벨연구소 직원이 만들었는데요. 최초의 반도체인 트랜지스터를 만들었습니다. 진공관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IT의 기술개발은 기하급수적이죠. 소리를 증폭하기 위해 만들어진 반도체는 점점 발달을 하다가 결국 반도체 집적회로(IC)를 만들기에 이르죠. 반도체 집적회로에는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등이 수천개 이상이 들어가 있습니다. 초창기에 한개의 트랜지스터와 다이오드가 이렇게 변신한겁니다!! 앞서 배운 CPU, 메모리 등이 전부 반도체로 만들었습니다. 반도체는 실리콘을 가지고 만드는데요. 성형수술 할 때 쓰이는 그 실리콘입니다. 미국 실리콘 밸리도 이 실리콘에서 따왔죠. 그만큼 반도체는 컴퓨터산업에 있어 엄청나게 중요하죠. (+커페시터라는 놈이 있는데 전압의 관문 역할을 합니다 커페시터는 반도체는 아니고 도체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반도체 덕분에 인간도 아닌 기계인 컴퓨터는 데이터를 가공시켜 정보로 만들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0과 1로 정보를 표현시키는 방법 이진법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프로그래밍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의 단위 비트, 데이터, 워드 (0) | 2020.06.23 |
---|---|
컴퓨터가 데이터를 입력 받는 방법 이진법 (0) | 2020.06.23 |
dev c++ 다운로드 방법 알아볼까요? (0) | 2020.06.21 |
컴퓨터의 뇌 연산제어기억장치 중앙처리장치[연산장치/제어장치]+기억장치 (0) | 2020.06.19 |
컴퓨터는 어떻게 데이터를 처리할까? (0) | 2020.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