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이 안쳐질때 해결방법 알아보기
한글이 안쳐질때 안녕하세요. 문석작성을 하다보면 한글이 안쳐질때가 있습니다. 한영키를 계속 눌러봐도 계속 영어만 나옵니다. 빨리 문서작성을 끝내야하는데 그러다보면 짜증이 막 나죠. 그럴 때 해결 방법이 있는데요. 작업표시줄의 입력도구모음에 있는 한영버튼을 눌러보는겁니다. 하지만 그것도 어디론가 사라져버리고, 먹통이 되서 안될 때가 있는데요. 오늘은 한글이 안쳐질때 해결법에 대해 적어보겠습니다. 이게 상당히 오래된 윈도우 운영체제의 고질적 문제인데 사소한건지라 업데이트를 안해주네요. 아무튼 어떻게 하면 해결 할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첫번째 방법입니다. 이걸로 한 80퍼센트 경우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습니다.
그만큼 근본적인 해결법인데요. 입력도구를 원상태로 살리는 방법입니다.
먼저 실행 창을 열어 cmd라고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런 다음 regsvr32.exe msimtf.dll을 입력하고 엔터를 쳐주세요. 이때 "msimtf.dll에서 DllRegisterServer가 성공했습니다"라고 떠야합니다.
그리고 regsvr32.exe msctf.dll을 입력해주고 엔터키를 눌러주세요. 이때 "msctf.dll에서 DllRegisterServer가 성공했습니다"라고 떠야합니다.
마지막으로 exit를 누르고, 종료 버튼을 눌러주세요. 그러면 입력도구창이 다시 생겨서 한글을 변환 할 수 있게 됩니다.
두번째 방법입니다. 제일 간편하고 자주 쓰는 방법인데요. 근본적으로 해결되진 않지만 급하게 한글이 안쳐지는걸 고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어떻게 하는거냐면 단축키[윈도우 +스페이스바]를 누르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한글이 변환되어 입력됩니다.
세번째 방법은 메모장을 이용한 방법인데요. 메모장에다가 한글로 아무글이나 쓰고, 한글이 변환되지 않는 곳에다가 복사하여 붙여넣기 해주세요. 그러면 한글이 입력이 되는걸 볼 수 있을겁니다. 두번째 방과 비슷한 요식적인 방법입니다.
마지막으로 이런 방법도 있는데요. 실행창을 열어 cftmon 파일을 실행시키면 한영키가 변환이 됩니다. 이것도 근본적 해결은 안됩니다. 참고로 실행창의 단축키는 [윈도우+R키]입니다. 여기까지 한글이 안쳐질때 해결법에 관해 적어봤습니다. 제 글이 많은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IT&컴퓨터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PC 이름 변경 이렇게 하세요 (0) | 2021.01.22 |
---|---|
윈도우7 최적화 방법 알아보기 (0) | 2021.01.14 |
msvcr100.dll 오류 해결 방법 안내 (0) | 2021.01.13 |
윈도우7 윈도우10 업그레이드 방법 안내 +윈도우10 기능 맛보기 (0) | 2021.01.13 |
윈도우7 비트 확인 방법 안내 (0) | 2021.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