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강좌 4.C# 변수에 대해서

Posted by 컴스퍼거
2020. 7. 23. 14:30 프로그래밍/C#
반응형

변수의 정의와 표현 

자바 강좌에서 말했듯 변수는 데이터의 저장을 위해 할당된 메모리 공간입니다. 변수는 변수 자료형 + 변수이름 + 세미콜론으로 만듭니다. 이렇게 변수를 만드는것을 변수 선언이라고 합니다.

선언을 하여줬으면 이제 할것은 변수에 값을 할당시킬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선언한 변수에다가 값을 할당 시킬 수 있을까요?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에선 할당 연산자(=)를 이용해 변수의 값을 할당시킵니다. 변수를 한번 작성해볼까요? 그런데 변수를 한번 작성해보니 일일이 귀찮네요. 일일이 자료 유형과 변수를 입력하는게 귀찮네요. 그럴 경우 자료 유형이 같은 경우 컴마를 이용해 한줄로 표현 할 수 있습니다.

변수이름은 다음과 같은 규칙을 가지고 만들어야 하는데요. 대소문자가 구별되어야 합니다. 또 예약어(키워드를) 사용 할 수 없고요. 영어 대소문자로 시작해야 합니다. 특수문자는 _(※참고:언더스코어라고 읽음)만 쓸 수 있습니다.

변수의 관련개념

1)리터럴

할당연산자 다음에 나오는 값을 리터럴이라 합니다. 3, 'abc', true 같은 것들이 모두 리터럴이죠.

2)상수

상수는 자바와는 달리 final 키워드로 상수를 정의하지 않고, const란 키워드로 상수를 정의합니다.

변수의 종류 

변수의 종류에는 값형 변수, 참조형 변수가 있습니다. 값형 변수와 참조형 변수의 차이는 ①스택과 ② 중 어느곳에 저장 되는지에 달라지는데요. 값형 변수는 스택에 참조형 변수는 힙에 저장되는 차이를 갖고 있습니다. 스택과 힙이 무엇인지는 다음에 제대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값형에는 논리형 문자형 숫자형 데이터형이 참조형에는 클래스 배열 인터페이스가 저장되게 되는데 이에 대해선 다음장에서 배워보겠습니다.


반응형